르브론과 함께 급부상하고 있는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의 역사를 간략히 살펴보고, 그동안 이 구단을 거쳐간 수퍼스타들로 Cavs All-Time Team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구단은 1970년에 신생팀으로서 창단되었습니다. 연고지는 29년 동안 한 번도 안 바뀌었지요. 첫 해에는 15승 67패를 기록함으로써 리그 최하위였고, 덕분에 당시 대학최고선수였던 '오스틴 카'를 드래프트할 수 있었습니다. 항상 성적이 하위권에서 맴돌았기에 거의 매년 대학 최고의 선수들을 영입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결국 1975-76 시즌에는 49승을 올리면서 구단 역사상 최초로 디비젼 타이틀을 따냅니다. 그 이후로는 다시 내리막 길이었죠. 80년대 중후반부터 90년대 초반까지 다시 한 번 중흥의 길을 터보려 했던 이 팀의 발목을 매번 잡은 것은 마이클 조던의 불스였습니다. 그리고 20년후, 캐벌리어스는 르브론 제임스를 중심으로 구단 역사상 세번째의 중흥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캐벌리어스는 3명의 '명예의 전당' 선수들을 배출했습니다. 네이트 써몬드, 웨인 엠브리, 레니 윌킨스가 그들입니다. 하지만 이 선수들의 전성기는 클리블랜드 소속 시절이 아니었기에, 이 구단이 이 세 명의 인물들을 배출했다고 말하는 것은 말에 좀 어폐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캐벌리어스 소속으로 뛴 선수들 중 6명의 져지넘버가 영구결번 됐습니다 - 빙고 스미스 (7), 래리 낸스 (22), 마크 프라이스 (25), 오스틴 카 (34), 네이트 써몬드 (42), 브랫 도허티 (43). 네이트 써몬드는 그의 이름값 때문에 영구결번이 되었다고 합니다. 사실 말년에 두 시즌 벤치멤버로 뛰면서 팀에 그리 공헌한 것은 거의 없었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르브론 제임스가 별 이상없이 지금의 실력을 향후 4~5년간만 지속해 준다면, 명실공히 구단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로 자리매김 될 것입니다.
지금부터, 현역선수들을 제외한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의 All-Time Team을 구성해 보겠습니다.
Starting Five
센터 - 브랫 도허티(Brad Daugherty)
1986년 드래프트에서 전체순위 1번으로 영입됐습니다. 이 드래프트는 2번 픽으로 셀틱스에 의해 드래프트가 되자마자 사망한 '렌 바이어스' (사진 오른쪽에서 두번째)로 인해 더 유명해진 드래프트였죠. 이 드래프트에서 '론 하퍼'도 8번픽으로 뽑혀서 캐벌리어스 유니폼을 입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댈러스와의 트레이드로 인해 '마크 프라이스'까지 낚을 수 있었습니다. 여기에 '존 “Hot Rod” 윌리암스'라는 뛰어난 USBL출신 파워포워드까지 영입한 캐벌리어스는 아마도 NBA 역사상 드래프트 당일날, 유능한 선수들을 한꺼번에 가장 많이 영입한 팀일 것입니다. 프라이스를 제외한 이들 모두는 86-87 All-Rookie 팀에도 이름을 올렸습니다.
마이클 조던과 함께 대학생활을 하며 딘 스미스 감독으로부터 철저한 기본기를 전수받은 도허티의 플레이는 화려하지는 않았지만 실속있었고 효율적이었습니다. 현재의 팀 던컨과 아주 비슷한 스타일의 농구를 했었지요. 팀 던컨이 조금 더 몸이 크고 느려서 센터를 봐야만 했다면 영락없는 도허티입니다. 물론 수비력과 리더쉽에 있어서는 던컨이 훨씬 더 뛰어나지만요. 도허티는 올스타게임에 다섯번 출전하며 (88, 89, 91, 92, 93) 8시즌을 캐벌리어스의 일원으로 뛰었습니다. 커리어 평균은 19.0점, 9.5리바운드, 3.7어시스트입니다. 센터로서는 상당히 높은 어시스트 수치가 눈에 띄지요?
도허티는 1993-94 시즌을 끝으로 28세의 젊은 나이에 농구인생을 접어야만 했습니다. 고질적인 허리 디스크때문이었지요. 도허티가 건강했더라면 90년대 4대센터들의 각축전에도 뛰어들만한 실력의 선수였습니다. 현재는 기독교인으로서 수많은 사회봉사 일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파워포워드 - 존 '핫 로드' 윌리엄스(John "Hot Rod" Williams)
존 윌리암스라는 이름이 워낙 흔한 이름이라서 그의 어렸을 적 별명인 "Hot Rod"를 미들네임처럼 사용했습니다. 당시에 해설자들도 그를 '핫 로드 윌리암스'라고 했지 '존 윌리암스'로 부르지 않았습니다. Hot Rod는 어렸을때 윌리암스가 집안에서 자동차의 엔진소리를 내며 집안을 가로질러 뛰어다녔다고 해서 붙여진 별명입니다. 엔진이 밖으로 드러나서 엔진소리가 유난히 크게 나는 차를 가리켜 미국에선 Hot Rod라고 하거든요.
윌리암스는 9시즌을 캐벌리어스 유니폼을 입고 뛰었으며, 그의 1,200 블락샷과 20,802분의 출장시간, 그리고 1,620개의 공격리바운드는 아직도 프랜차이즈 올타임 기록으로 남아 있습니다. 윌리암스의 40분 대비 커리어 평균은 14.9점, 9.1리바운드, 2.4어시스트, 2.2블락샷입니다.
스몰포워드 - Larry Nance(래리 낸스)
올스타 게임에 3번(85, 89, 93) 출전했고, 1984년 슬램덩크 콘테스트에서는 줄리어스 어빙을 결승에서 누르고 NBA 첫 슬램덩크 우승자가 됐지요. 대학 졸업시의 서전트점프가 102cm였던 낸스는, 프로 초창기에는 주로 선즈의 칼 매이시의 앨리우프 패스만 받아먹는 단조로운 공격패턴을 갖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1986-87 시즌에는 22.5득점을 기록하며, 더 이상 덩크만이 아닌 미드레인지 점퍼와 다양한 공격루트를 장착했음을 과시하기도 했습니다. 낸스는 또한 스타팅 멤버로 뛴 11시즌동안 매시즌 평균이 최소 16득점에 8리바운드로써 ‘꾸준함’에 있어서도 유명했던 선수였습니다. 1989년과 1992년, 93년에는 All-Defensive Team에도 뽑혔었죠.
1988년에 있었던 피닉스와 클리블랜드 (케빈 존슨, 댄 말리)의 트레이드로 인해 클리블랜드에 새 둥지를 튼 낸스는 젊은 피의 수혈로 점점 강해지던 캐브스를 당장에 파이널 컨텐더로 만들어 놓았습니다. 허나, 두 가지 장벽이 도사리고 있었으니, 같은 컨퍼런스에 조던의 불스가 있었다는 점과, 이때부터 그의 고질적인 허리부상이 서서히 고개를 들기 시작했다는 점이었습니다.
3번부터 5번까지의 포지션을 모두 소화할 수 있었던 낸스의 커리어 평균은 17.1점, 8.0리바운드, 2.6어시스트, 2.2블락샷입니다.
슈팅가드 - 오스틴 카(Austin Carr)
하지만 입단 첫 시즌부터 입은 발과 다리부상의 어두운 그림자는 커리어 내내 그를 괴롭혔고, 결국 그는 대학때의 명성에 걸맞지 않는 수준으로 농구인생을 마쳐야만 했습니다. 1973-74 시즌에는 21.9점, 3.6리바운드, 3.8어시스트에 86%의 자유투 성공률을 보이며 잠시나마 그가 어떠한 능력의 소유자인지를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이것도 잠깐, 다음 시즌에 곧바로 무릎부상을 입으며 다시 힘든 커리어를 보내게 됩니다.
오스틴 카는 캐벌리어스의 일원으로 뛴 9시즌동안 16.2 평균득점을 기록했습니다. 계속되는 부상에도 불구하고 끊임없이 도전하던 그의 모습은 많은 젊은 농구선수들에게 귀감이 되었고, 그래서 구단은 그의 져지넘버를 영구결번시켜 주었습니다.
포인트가드 - 마크 프라이스(Mark Price)
이 글을 보시는 분들이 기억하실지 모르겠으나, 마크 프라이스의 플레이를 보다 보면 저의 고교 1년 선배셨던 유재학 감독님의 전성기적 플레이가 떠오르곤 합니다. 허재나 강동희같은 특출난 기술이 없었어도 언제 패스하고 언제 외곽슛을 날려야 할 지를 누구보다 빠르게 판단할 수 있었던 분이었죠. 낮고 불규칙한 드리블, 경기를 읽는 영리한 두뇌, 그리고 단신임에도 인사이드를 향해 치고 들어가며 완벽하게 빼주는 킥아웃 패스나 직접 시도하는 반박자 빠른 레이업 등이 그 분의 전매특허였습니다. 프라이스도 그러한 스타일의 농구를 했습니다. 키는 작았지만 드리블을 치다가 순간적으로 점프하며 높은 타점에서 터뜨리는 풀업점퍼는 예술이었죠. 그리고 강한 손목힘에서 비롯된 3점라인 훨씬 뒤에서의 안정된 롱슛이나 빠른 드리블과 함께 변칙적인 타이밍에서 발생되는 킬패스는 역대 최고수준이 아니었는가 하는 생각까지 듭니다.
자유투 성공률도 커리어 평균이 90.4%에 달했고 3점슛 성공률도 40%를 상회했습니다. 1988-89 시즌에는 '야투성공률이 50%를 넘고, 3점슛이 40%를 넘으며, 자유투까지 90%의 성공률을 보인 180 클럽' (버드, 노빗츠키, 내쉬, 레지 밀러 등)에 자신의 이름을 올리기도 했습니다. 4번의 올스타 게임에 출전했던 프라이스는 1992-93 시즌에는 All-NBA First Team에 선출되기도 했지요. 프라이스의 40분 대비 커리어 평균은 20.4점, 9.0어시스트, 1.6스틸입니다.
1994년에는 세계농구선수권에서 샤킬 오닐, 숀 캠프, 레지 밀러등의 공격을 이끌어내며 미국에 금메달을 안기는데 있어 큰 공헌을 했던 주전 포인트가드 마크 프라이스. 그의 캐벌리어스 All-Time Team 선정에는 이견이 없을 듯 합니다.
벤치 멤버들
센터 겸 파워포워드 - 숀 켐프(Shawn Kemp)
1998년에는 클리블랜드 캐벌리어스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올스타 게임에 스타팅 멤버로 '선발출전'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클리블랜드에 온 후에 시작된 체중조절의 문제는 그의 커리어를 단축시키는 주원인이 되고 말았습니다.
슈팅가드 겸 포인트가드 - 월드 B.프리(World B. Free)
몸은 뚱뚱한(?)편으로 둔해보이기까지 했는데도 몸놀림은 무척 민첩했습니다. 79년과 80년에는 조지 거빈과 득점왕을 다툴 정도로 득점력도 뛰어났습니다. 커리어 평균은 20.3점에 불과하지만, 그것은 루키시즌과 말년 두시즌 동안에 많이 까먹은 수치고, 나머지 10시즌 동안에는 대체적으로 23점에서 30점 사이를 득점해줬죠. 클리블랜드에서는 82년부터 86년까지 뛰며 평균 23점을 득점했던 뛰어난 스코러였습니다.
스몰포워드 겸 슈팅가드 - 론 하퍼(Ron Harper)
훌륭한 점프력을 바탕으로 한 그의 올라운드 공격력은 클리블랜드에서의 루키시즌에 이미 평균 22.9점이라는 수치로 증명이 되었습니다. 클리블랜드에서의 3시즌을 보낸 뒤에 LA 클리퍼스에서 맹활약을 했던 하퍼. 그를 멈춘 것은 무릎부상이었습니다. 그 후, 레이커스와 불스에서 롤플레이어로 뛰며 우승반지를 5개나 챙겼지요.
무릎부상을 당하기 전인 클리블랜드와 LA 에서의 8시즌 동안엔 꾸준히 18점에서 23점 사이를 득점해주며 리바운드와 어시스트도 5~6개씩 해주던 올라운더였습니다.
이 외에도 로이 힌슨, 키이쓰 리, 타이론 힐, 마이크 밋첼, 빙고 스미스, 필 허바드, 테럴 브랜든과 같은 많은 좋은 선수들이 있었지만, 위에 언급된 선수들만큼 긴 시간동안 꾸준한 활약을 보이지는 못했다고 판단되어 All-Time Team에서는 제외시켰습니다. 이제 르브론을 중심으로 클리블랜드에 새 태양이 떠오를 것을 기대하며 여기서 글을 줄일까 합니다.
설 연휴, 의미있게 잘 보내십시오.^^
< 저작권자 ⓒ 뛰어(www.ddueh.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09/01/16 - 왜 밀렌코 테피치를 주목해야 하는가?
2009/01/16 - 『그 때 그 선수』레이커스 암흑기를 걷어낸 악동
2009/01/11 - 빅게임 리뷰: 보스턴@클리블랜드
2009/01/10 - 클리퍼스 전을 통해 본 스퍼스의 '기본기' 농구
'NEWS & COLUMNS > DOCTOR J'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희생’ 의 미학 - 1972년 레이커스의 33연승 신화 (2) | 2009.02.20 |
---|---|
빅 게임 리뷰 - 스퍼스 @ 셀틱스 (2009.02.08) (0) | 2009.02.10 |
클리퍼스 전을 통해 본 스퍼스의 '기본기' 농구 (2) | 2009.01.10 |
잘못 사용되는 듯한 용어 - 롤 모델 (Role Model) (17) | 2008.12.28 |